본문 바로가기
제품

펜타닐? 펜타닐의 부작용과 유통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by 수로그8 2023. 2. 21.

안녕하세요. 요즘 뉴스와 시사 프로그램에서 다루고 있는 ‘펜타닐’ 먀약이라는건 알겠는데, 왜 이 마약이 요즘 뉴스에서 많이 등장하고, 또 우리나라에 까지 번지고 있는 상황에 대해서 알아보고 대략적인 유통과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도록 하겠습니다.

 

JTBC뉴스 화면 마약과의 전쟁을 이야기하는 대통령에대해 이야기하고있다
마약과의 전쟁을 이야기하는 대통령

펜타닐이란?

진통제의 일종으로써 마약류로 분류되어 있는 약물입니다. 이해하기 쉽게 말해서 우리가 흔히 복용하는 타이레놀의 1000배에 달하는 진통제로 작용 능력은 매우 강합니다. 워낙 강한 진통제 성분이기 때문에 패치로 사용되며, 복막까지 전이되어서 장으로 진통제를 흡수하지 못하는 최종적인 환자에게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펜타닐의 중독된 사람들의 얼굴
펜타닐에 중독된 사람들의 얼굴

펜타닐의 부작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펜타닐의 부작용으로는 첫 번째로 변비증상이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그런 변비가 아니라 가스조차도 나오지 못하게 되는 그런 심각한 변비입니다. 신체는 음식을 먹고 그 음식을 분해하여 장으로 흡수를 하게 되는데 장에서 흡수하고 남은 찌꺼기를 원활하게 배출하지 못하면, 그 찌꺼기가 독성물질을 만들어 내서 결국 장을 썩게 만들고 사망에 까지 이르게 할 수 있습니다. 펜타닐은 장기의 한 수용체 부분에 작용을 하게 되어서, 강한 수축작용을 이르키게 되며, 이런 장에 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배출하지 못하게 합니다. 그러기 때문에 극심한 고통을 가져올 수 있게 되죠 심지어 변비는 내성도 없습니다. 두 번째로 오심과 구토 증상이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구토증상이 우리가 흔히 멀미를 해서 구토를 하는 증상으로 생각해선 안됩니다.

하루종일 구토를 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구토를 하다가 위액이 넘어오게 되는데, 이 위액의 산성 성분이 우리의 치아를 부식시키며, 결국 모든 치아가 다 부식되어 빠져 버리게 됩니다. 치아를 지탱해 주는 잇몸의 골조 부분까지 파괴하기 때문에, 임플란트도 안 되는 상황까지 초래하게 만들며, 틀니를 해야 한다고 합니다. 세 번째로 졸림과 섬망 증상이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펜타닐은 인간의 두뇌에 모든 부분에 작용을 하기 때문에, 치매증상 또는 운동신경 장애등을 일으키며, 뇌에 고장이 났다고 생각하시면, 이해하시기 편하실 것 같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두뇌에 도파민 호르몬이 과다하게 나오게 되는 마약류를 투약하게 되면, 고통을 느끼지 못하며, 제대로 된 인지 능력이 저하되어, 기억력 상실, 계속된 졸음이 몰려오게 됩니다. 펜타닐은 신체에 모든 근육에 수축작용을 일으키게 되는데 좀비로 만드는 먀악이라는 별명이 붙은 이유도 근육경직에 있습니다. 이 또한 뇌에 작용과 관련이 있는데, 뇌에서 잘못된 명령을 내려 올바른 근육의 작용을 못하고 마치 좀비처럼 몸을 비트는 증상을 일으킵니다.

펜타닐에 중독된 한 사람이 몸을 비틀고있다
펜타닐의 중독 증상인 근육의 수축

펜타닐의 부작용을 정리하자면 이러하다.
-상상할 수 없는 변비 증상
- 오심과 구토로 인한 치아 부식
- 졸림과 섬망 증상
- 근육 수축
- 뇌와 관련된 모든 기능 파괴

펜타닐의 성행 이유

이것들의 유통과정에는 '분리조립'이라는 방식으로 단속망을 피하고 있는데요, 펜타닐은 비교적 간단한 화학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성분성분을 확인해 보면, 일상에서 구하기 쉬운 약품으로 이루어져있어, 각각의 개별의 약품을 따로 수출입을 하게 되어 합성을 하게 되면 무서운 마약류가 된다고 하니 단속하기가 더욱 어려운 상황입니다. 특히나 중국과 멕시코미국의 세 개의 국가에서 이러한 분리 성행한다고 하니각국의 법과 처벌이 달라 단속의 어려움이 더 심해지고 있다고 합니다. 마약제조자들은 비교적 제조가격이 저렴한 펜타닐의 유통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미리 만들어둔 가격이있는 필로폰과 코카인 등이 우리나라로 유통이 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비해 무려 67% 나 밀반입물량이 늘었다고 하니 우리나라도 더 이상 마약 안전지대가 아닐 수 있다는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댓글